본문 바로가기

바이낸스7

체인링크 (LINK) 분석 및 전망, 호재 | 블록체인 리포트 체인링크 (LINK)는 외부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는 블록체인의 단점을 오라클을 이용해 해결해 온체인과 오프체인을 연결시키는 블록체인 미들웨어 플랫폼입니다. 체인링크를 이용하면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오프체인 데이터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체인링크 (LINK)는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빗썸, 후오비, 업비트, FTX등의 메이저 거래소에 상장을 마친 상태입니다. 실질적으로 거래가 제일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거래소는 바이낸스입니다. 체인링크 코인의 거래 시작은 2017년 9월에 발표된 이후로써 크립토 시장에서 꽤나 오래된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높은 시가총액을 통해 가격 변동성은 다른 마이너 알트코인에 비해 큰 폭은 아니지만 폭락시에도 일정선의 가격을 유지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 2022. 1. 8.
코스모스 (ATOM) 분석 및 전망, 호재 | 블록체인 리포트 코스모스 (ATOM)은 2016년에 한국계 미국인인 권용재씨가 작업증명(PoW)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텐더민트(Tendermint) 프로토콜을 개발해 이를 블록체인에 적용시켜 창시한 레이어 1 시스템입니다. 블록체인 1세대 라인 중 한 가지인 코스모스는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OKEx, 업비트 등의 메이저 거래소에 상장을 마친 상태입니다. 큰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는 만큼 다른 거래소에 추가적으로 상장되어도 펌핑을 기대하기는 어렵겠습니다. 코스모스 (ATOM)은 레이어 1에 해당되는 코인으로 솔라나, 폴카닷과 같이 하락장 이후에도 상승을 보여줬으나 폭발적으로 더 높은 고점을 갱신하지는 못한 모습입니다. 다음으로 코스모스의 기술력에 대한 분석으로 들어가면 코스모스는 텐더민트 프로토콜을 이용해 허브 - 존 .. 2022. 1. 6.
니어프로토콜 (NEAR) 분석 및 전망, 호재 | 블록체인 리포트 니어프로토콜 (NEAR)은 레이어 1 관련 코인으로 이더리움, 솔라나, 바이낸스토큰 같은 코인들과 같이 경쟁하는 코인입니다. 니어프로토콜이 지향하는 바는 DApp을 웹 위에서 사용할 수 있게하는 즉, Web 3.0를 구현하고자 하는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이를 구성하기 위해서 니어프로토콜은 나이트셰이드라는 독자적인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나이트셰이드는 이더리움, 비트코인에 비해 몇십배 이상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이때, 데이터를 샤딩(잘게 쪼갬)해 트랜잭션을 분할시켜 나눠 저장하는 기술을 이용해 블록체인에 확장성을 부여합니다. 니어프로토콜은 현재 업비트, 바이낸스, OKEx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아직 코인베이스, FTX, 빗썸등에 상장되지 않았기.. 2022. 1. 4.
엘프 (ELF) 분석 및 전망, 호재 | 블록체인 리포트 엘프 (ELF)는 2018년에 중국의 마하오보와 천주링이 창시한 코인으로, 병렬처리 알고리즘으로 트랜잭션(전송)을 처리해 블록체인을 이용해 실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속도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시스템입니다. 엘프는 현재 업비트, 바이낸스, OKEx, 빗썸 등 메이저 거래소에 상장을 마친 상태입니다. 거래량을 보면 업비트에서 가장 많은 거래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김치코인은 아니지만 중국계 코인이 업비트에서 가장 큰 거래대금을 가지는 것을 보면 상승을 주도하는 움직임이 업비트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엘프 (ELF)의 경우에는 하락장 이후 에어드랍 호재로 인해서 직전 고점을 갱신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메인넷으로 인해 총 전송금액의 5%에 해당하는 ELF를 에어드랍 하는 .. 2022. 1. 3.